Synology NAS NFS 설정, 내가 쓰려고 정리한 메모
Synology NAS에서 NFS를 설정해서 다른 서버에서 폴더를 마운트하는 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. 리눅스에선 NFS 가 SMB보다 안정적이라고 하더군요.
하나씩 따라 하니까 꽤 간단합니다.
제가 나중에 까먹을까 봐, 그리고 필요할 때 바로 볼 수 있게끔 최대한 쉽게 적어봅니다. 아래는 반말채로 적겠습니다.
1. NFS 켜기
먼저 NAS에서 NFS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. 이거 안 하면 아무것도 안 되니까 제일 먼저 확인.
-
제어판으로 들어간다.
-
파일 서비스 메뉴 클릭.
-
NFS 탭에서 NFS 활성화 체크박스 체크하고 적용 누르면 끝.
이제 NFS가 켜졌으니 다음 단계
2. 공유 폴더 만들기
NFS로 공유할 폴더가 필요하다. 이미 폴더가 있다면 이 단계는 스킵해도 된다. 근데 새로 만들 거면 이렇게 해보자.
-
제어판 > 공유 폴더로 이동.
-
생성 버튼 눌러서 새 폴더 만들기.
-
이름은 내가 알아볼 수 있게 mount나 mnt처럼 직관적으로 짓는다.
-
설정 끝나면 적용 클릭.
이 폴더를 NFS로 다른 서버에서 접근할 수 있게 설정할 차례
3. NFS 권한 설정
이제 만든 폴더에 NFS 권한을 설정해야 한다. 어떤 IP에서 접근할지, 읽기/쓰기 권한은 어떻게 줄지 여기서 결정한다.
-
제어판 > 공유 폴더에서 방금 만든 폴더(예: data) 선택 후 편집.
-
NFS 권한 탭에서 권한 추가 클릭.
-
설정은 이렇게:
-
호스트 이름 또는 IP: 192.168.0.0/24 (내부 네트워크 전체 접근 허용. 특정 IP만 허용하려면 192.168.0.100처럼 입력).
-
권한: 읽기/쓰기 (읽기만 할 거면 읽기 전용 선택).
-
루트 스쿼시: admin에 모든 사용자 매핑 선택. (세세한 권한을 다룰려면 다르게 설정하셔도 됩니다.)
-
비동기: 체크 (속도 빠르게 하려고).
-
권한 없는 포트 연결 허용: 체크.
-
사용자 마운팅된 하위 폴더 액세스 허용: 체크.
-
-
다 설정했으면 저장하고 적용.
이제 NAS 에서 NFS 공유 준비 끝!
4. 다른 서버에서 폴더 마운트하기
이제 다른 서버(예: Ubuntu나 CentOS)에서 NAS 폴더를 마운트해보자. 서버 OS에 따라 패키지 설치부터 시작.
4.1. 필요한 패키지 설치
Ubuntu/Debian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nfs-common
CentOS/Red Hat
sudo yum install nfs-utils
OS가 뭔지 헷갈리면 이거 써서 확인:
cat /etc/os-release
4.2. 마운트 폴더 만들고 연결
마운트할 로컬 폴더를 만들고 NAS 폴더를 연결한다.
- 마운트할 폴더 생성:
sudo mkdir -p /mnt/nas
- NFS 마운트 실행. NAS IP가 192.168.0.100이고 공유 폴더가 data라면:
sudo mount -t nfs 192.168.0.100:/volume1/data /mnt/nas
다른 예시:
sudo mount -t nfs 192.168.0.100:/volume3/mnt /home/user/mount
4.3. 마운트 잘 됐나 확인
마운트가 제대로 됐는지 확인하려면:
mount | grep nfs
이거 실행하면 NFS로 마운트된 목록이 나온다.
5. 기존 폴더가 이미 있으면?
마운트하려는 경로(예: /home/user/mount)에 이미 데이터가 있는 폴더가 있다면, 백업부터 하고 진행하자.
- 기존 폴더 백업:
mv /home/user/mount /home/user/mount_backup
- 새 폴더 생성:
mkdir /home/user/mount
- NFS 마운트:
sudo mount -t nfs 192.168.0.100:/volume1/data /home/user/mount
- 백업 데이터 복사:
sudo cp -r /home/user/mount_backup/. /home/user/mount/
로컬 파일이 있는 폴더를 마운트 하면 제대로 반영이 되지 않고 로컬에선 보이지 않게 된다. 사라진건 아니고 마운트를 해제하면 다시 확인할 수 있다.
6. 재부팅해도 마운트 유지하려면
서버 재부팅하면 NFS 마운트가 끊긴다. 귀찮게 매번 다시 마운트하지 말고, 자동으로 연결되게 설정하자.
- 마운트 폴더 생성:
sudo mkdir -p /home/user/mount
- /etc/fstab 파일 편집:
sudo nano /etc/fstab
- 다음 줄 추가:
192.168.0.100:/volume3/mnt /home/user/mount nfs defaults,_netdev 0 0
참고: defaults,_netdev는 네트워크 연결 지연 방지 옵션이다.
- 설정 적용:
sudo mount -a
- 다시 확인:
mount | grep nfs
이제 재부팅해도 자동으로 마운트된다!
마무리
이거 정리하면서 다시 보니까 NFS 설정이 생각보다 간단했습니다.. 처음엔 복잡해 보였는데, 하나씩 해보면 금방 익숙해지네요. 나중에 까먹을 때 이 메모 보면 바로 해결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.
다른 글
- 현재 글: Synology NAS NFS 설정, 내가 쓰려고 정리한 메모
- 이전 글: 도커 멀티모듈 프로젝트 관리, 내 나름의 정리법